WEVEN
WEVEN
로봇 수직농장 시스템
농업의 위기,
로웨인이 해답을 제시합니다
keyboard_arrow_down
농업 산업은 지금 심각한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2002년 359만 명에 달했던 농업 인구는 2022년 219만 명으로 급감했으며,

남은 농업인 중 56%는 65세 이상입니다. 

이는 곧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저하로 이어져, 대한민국 식량안보 순위는 OECD 32개국 중 29위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상기후는 농업의 불안정성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기존 농업 방식은 막대한 양의 물을 소비하고 

지구 온실가스 배출의 26%를 차지하는 등 환경에 큰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농업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저하 문제
대한민국 식량안보 순위

OECD 32개국 중 29위
이상기후로 인한 농업 위기 심화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의 26%는 농식품 산업에서 발생
농업 인구
65세 이상 고령화율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 비율
새로운 가능성은 있지만,
한계도 분명합니다.
수직농장은 기존 농업 대비 물 사용량을 최대 95%까지 절약하고,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등 기후 위기 시대의 가장 확실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수직농장은 사람의 작업 동선에 맞춰 설계되어 비효율적인 공간이 많고,

시설 유지비가 높아 수익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명확한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미래 농업을 위해서는 이 문제를 해결할 혁신적인 자동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농업의 새로운 대안 - 수직농장
수직농장은 외부와 분리된 환경에서 인공광원, 양액, 온습도 등의 환경요인을 조절하여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연중 안정적인 생산 가능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의

26%는 농식품 산업에서 발생
국내 채소의 30%가 수직농장에서 재배될 경우,
이산화탄소 감축량
기존 농업 대비 물 사용량을

최대 95% 절약 가능
수직농장과 온실의 물 사용량 비교
자동화 시스템 도입 필요
낮은 생산성, 높은 시설∙유지비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인 자동화 시스템 도입 필요
수직농장의 수익성을 저해하는 요인
공간효율 감소
재배장치와 재배장치 사이에 사람이 작업가능한

넓은 공간이 필요
생산성 제한
사람이 작업 가능한 높이에 맞춰 

재배장치 높이 제한
수익성 감소
전 공간 설비 설치 및 매립으로 

시설·유지보수 비용 대폭 증가
로웨인의 혁신 솔루션
로봇 수직농장 시스템
인텔리팜
로봇의 효율을 극대화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화 수직농장으로

로웨인은 기존 수직농장의 모든 문제점을 로봇 중심의 설계로 해결했습니다.

‘인텔리팜’은 재배 공간(Growth Zone)과 작업 공간(Working Zone)을 완벽하게 분리합니다.
생산 효율은 크게 높이고, 
인력 투입은 최소화했습니다
AGV, 스태커 로봇, 수확 로봇이 작업 공간에서 모든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하므로, 재배 공간에는 사람이 들어갈 필요가 없습니다.

이를 통해 낭비되는 공간 없이 재배 밀도를 극대화하여 생산량을 늘리고,

불필요한 설비를 제거하여 고정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생산의 모든 과정을 로봇이 자동화합니다.
CEO : Kyeong-Ha Lee  Email : rowain@rowain.com
연구소 : 수원시 영통구 신원로 250번길 13,

현대테라타워 A동 901호
본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36길 63, 303-28호 

(충남 천안아산 혁신클러스터 불당동 제3캠퍼스)
© 2024 ROWAIN. All Rights Reserved.
keyboard_arrow_up
TOP